병원 신분증 없을때, PASS 모바일 신분증 저장하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소내일입니다 😊
오늘은 병원 방문 시 신분증이 없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란?
2024년부터 병·의원에서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으려면 신분증으로 본인 확인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는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조치로, 병원에 기존 등록된 환자라도 방문 시마다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제는 신분증 없이는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 및 대체 수단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
✅ 1. 실물 신분증 제시
- 건강보험증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국가보훈등록증
- 장애인등록증
- 외국인등록증
- 국내거소신고증
- 행정·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 및 주민등록번호 포함 증명서
✅ 2. 전자서명 인증서 사용
-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 금융인증서 (금융결제원)
- 디지털 원패스 (행정안전부)
- 간편 인증 (PASS, 네이버, 카카오 인증서, 삼성페이, NH인증서 등)
✅ 3. 본인확인 서비스 이용
- 통신사 인증 (PASS, 이동통신 3사)
- 신용카드사 인증 (NH농협카드 등)
- 은행 인증 (KB국민은행 등)
✅ 4. 전자 신분증 활용
- 모바일 건강보험증
- 모바일 운전면허증 (PASS 앱 이용)
- 주민등록증 확인 서비스 (PASS 앱 이용)
📌 PASS 앱을 활용하면 모바일 신분증으로 빠르게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
📢 PASS 앱으로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 PASS 앱 실행 후 우측 상단 ‘모바일 신분증’ 클릭
- 인증 절차 진행 후 다운로드
- 발급 완료 후 병원 방문 시 활용 가능!
💡 PASS 앱에 모바일 신분증을 등록해 두면 신분증을 깜빡해도 안심!
🔎 결론
✅ 병원 방문 시 신분증 필수! ✅ 전자서명 인증서, 본인확인 서비스로 대체 가능 ✅ PASS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 발급해두면 편리
💡 미리 신분증을 챙기거나 PASS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등록하세요! 😊
반응형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중앙난방 사용시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 (1) | 2025.02.04 |
---|---|
연차발생기준, 미사용 연차 수당계산 하는방법 (0) | 2025.01.29 |
쏘카 이용요금 계산 및 이용방법 (0) | 2025.01.27 |
고속버스 티머니 티켓 취소하는 방법과 수수료 (0) | 2025.01.27 |
인천공항 장기주차 예약없이 이용하는 꿀팁 + 요금 할인받기 (1) | 2025.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