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방법, 세율, 절세팁

소소내일 2025. 2.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소내일입니다 😊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직장인들은 바쁜데요, 해외 투자를 하고 있다면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도 신경 써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개념이 생소하다면 오늘 글을 끝까지 읽어보세요! 확실한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란?

해외 주식 투자로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국내 주식은 대주주가 아닌 이상 세금이 없지만, 해외 주식은 양도차익이 발생하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 세율: 22% (지방소득세 포함)
  • 공제 한도: 연 250만 원까지 비과세

💡 예시) 2024년에 테슬라 주식을 팔아 1,000만 원의 차익을 얻었다면?

1,000만 원 - 250만 원(공제) = 750만 원 750만 원 × 22% = 165만 원 세금 납부


📢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는 자진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 신고 기간: 매년 5월 (전년도 1월~12월 거래분 신고)
  • 신고 방법:
    1. 홈택스 접속 → [세금 신고] → [양도소득세] → 정기 신고
    2. 증권사 HTS에서 양도소득세 신고용 거래내역 다운로드 후 업로드
    3. 신고 완료 후 세금 납부

📌 간편 신고 방법

  • 증권사 신고대행 서비스 이용 가능 (약간의 수수료 발생)
  • 증권사 HTS에서 ‘양도세 대행’ 검색 후 신청

🚨 미신고 시 가산세

  • 과소 신고: 10% 가산세
  • 미신고: 20% 가산세

🎯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 1. 손익상계 활용하기

손실 본 종목과 이익 본 종목을 동시에 매도하면 양도차익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예시) 500만 원 수익 종목 + 200만 원 손실 종목 매도 →

  • 순수익 300만 원
  • 250만 원 공제 후, 50만 원만 세금 부과 (11만 원 납부)

✅ 2. 비과세 한도 나누기

한 번에 매도하지 않고 연도별 250만 원씩 분할 매도하면 비과세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3. 배우자 및 자녀에게 증여하기

부부 간 10년간 6억 원까지 증여 가능하므로, 주식을 증여한 후 매도하면 절세 효과가 큽니다.

  • 자녀는 10년간 5천만 원(미성년자 2천만 원)까지 증여 가능

🔎 마무리

해외 주식 투자는 매도 후 세금 신고까지 해야 완벽한 마무리입니다. 미리 준비하고 절세 전략을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증권사 HTS에서 거래내역 확인하세요! 😊

 

반응형

댓글